|
집안에 하나쯤 구비하고 있는 구급 상자. 쉽게 손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아무 생각 없이 너무 자주 일반의약품을 복용하고 있지는 않은가요? 특히 의료 쇼핑 경력이 많은 사람일수록 어렵고 긴 약제의 이름을 커피 주문하듯 쉽게 구입하곤 합니다.
하지만 일반 약의 부작용으로 숨지는 사람이 미국에서도 연간 1만6천명에 달할 정도로, 약의 부작용과 부주의한 오남용으로 자신을 헤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, 가정에서 꼭 구비해야 할 유용한 상비약은 무엇이며, 어떻게 보관하면 좋을까요? 응급 시에 그 효과를 더욱 발휘하는 가정 상비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*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부득이하게 특정 약품명을 언급했습니다. 아래 약품은 서울대병원과 무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약효군 |
약품명 |
저장법 |
주의사항 |
해열
진통
소염제 |
화이투벤 |
직사일광 피하고
가능한 습기가 적은
서늘한 곳에 보관할 것 |
1) 복용하는 동안 발진, 발적, 구역, 구토, 변비, 식욕부진, 배뇨곤란, 현기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복용을 중지하고 의사, 약사와 상의할 것
2) 복용하는 동안 졸음이 오는 경우가 있으므로 자동차 운전 또는 기계류의 운전 조작을 피할 것
3) 장기 사용하지 말 것 |
해열
진통
소염제 |
타이레놀 |
실온보관 |
1)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야 할 경우,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애햐 한다. 이러한 사람이 이 약을 복용하면 간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.
2) 소화성궤양/심한 혈액이상/심한 간장애/심한 신장애/심한 심기능부전/아스피린 천식 환자는 사용하지 말 것
3) 12세 미만의 어린이에는 투여하지 말 것 |
건위
소화제 |
훼스탈 |
직사일광 피하고
가능한 습기가 적은
서늘한 곳에 보관할 것 |
1) 2주정도 투여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없을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약사 또는 의사와 상의한다.
2) 혈청빌리루빈농도가 높은 중증간질환, 담도폐색, 담낭의 축농, 간성혼수전 및 간성혼수, 장폐색환자는 사용하지 말 것 |
정장제 |
스멕타 |
실온보관 |
1) 흡착성이 있어 타 약물과의 병용투여 시 흡수율이나 흡수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시간간격을 두고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 |
진통
진양
수렴
소염제 |
트라스트 |
실온보관 |
1) 소염진통제에 의한 치료는 원인요법이 아닌 대증요법임에 유의한다.
2) 아스피린 천식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는 사용하지 말 것
3) 아스피린 또는 기타의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에 두드러기, 비염 및 맥관부종을 일으킨 환자는 사용하지 말 것
4) 14세 이하의 어린이 금기 |
진통
진양
수렴
소염제 |
버물리 |
직사일광 피하고
가능한 습기가 적은
서늘한 곳에 보관할 것 |
1) 외용으로만 사용하고 내복하지 말 것
2) 사용전에 잘 흔들 것
3) 본제 사용에 의한 발진, 발적, 종창, 가려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할 것
4) 수일간 사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약사 또는 의사와 상의할 것
5) 눈 주위, 점막 등의 부위에는 사용하지 말 것 |
진통
진양
수렴
소염제 |
맨소래담 |
실온보관 |
1) 눈 주위, 점막 등의 부위에는 사용하지 말 것
2) 옻에 의한 피부염, 습윤성 상처부위에는 사용하지 말 것
3) 외용으로만 사용하고 복용하지 말 것
4) 본제 사용에 의한 발진, 발적, 종창, 가려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할 것
5) 수일간 사용하여도 증상의 개선이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을 중지하고 약사 또는 의사와 상의할 것 |
주로
그람양성균에 의한
감염 |
후시딘 |
실온보관 |
1) 눈 또는 눈꺼풀과 같은 얼굴 안쪽에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. |
외피용
살균소독제 |
포비돈 |
직사광선을 피하여 보관 |
1) 안과용이나 복용하여 사용하지 않는다.
2) 환부를 깨끗이 씻고 소독한다. 중증의 창상에 사용하는 경우의 희석액으로는 주사용 증류수 또는 멸균정제수를 사용한다. |
밴드류 |
밴드류 |
|
1) 피부과민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사용 중단하십시오.
2) 입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.
3) 감염방지를 위하여 한번 사용한 제품은 재사용(재부착)하지 마십시오. |
|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