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대학교병원 건강소식

  • 웹진첫페이지로
  •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(새창열기)
  • 서울대학교병원 유투브채널(새창열기)
  • [유방센터]유방암 수술 후 팔이 잘 올라가지 않습니다. 어떻게 해야 할까요?
  • 보고듣는 암정보 2013/08/06
  •  

    굉장히 많은 분들이 질문을 해주시는 부분입니다. 수술한 후 수술 한쪽의 팔, 옆구리 부위에 통증이 있다던지, 감각이 이상하다던지, 그러인해 움직임에 제한을 받는다던지 하는 증상들은 수술환자의 대부분이 호소하는 증상들입니다.


    그 이유는 수술이 잘못되었거나, 다른 문제가 있어서가 아닙니다. 대부분의 유방암수술은 감시림프절 생검술을 진행하게 되는데, 그 과정에서 겨드랑이에 분포하고 있는 옆구리나 팔, 등쪽에 감각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의 잔가지들을 제거하게 됩니다. 따라서 이런 증상들은 특별한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는 자연스런 현상으로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.


    만약 이런 증상으로 인해, 팔 운동의 제한이 왔다면 목, 어깨, 가슴 등의 운동을 실시하여 팔 주위의 근육을 먼저 이완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. 또한 가벼운 맛사지나 따뜻한 물로 샤워 혹은 통목욕을 하면 팔의 근육이 이완이 되기 때문에 좀더 편안하게 운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.

    [서울대학교암병원 김지선 교수]

  • 목록보기
건강소식 메뉴 및 컨텐츠
건강소식 컨텐츠
[유방센터]유방암 수술 후 팔이 잘 올라가지 않습니다. 어떻게 해야 할까요?
보고듣는 암정보 2013/08/06

 

굉장히 많은 분들이 질문을 해주시는 부분입니다. 수술한 후 수술 한쪽의 팔, 옆구리 부위에 통증이 있다던지, 감각이 이상하다던지, 그러인해 움직임에 제한을 받는다던지 하는 증상들은 수술환자의 대부분이 호소하는 증상들입니다.


그 이유는 수술이 잘못되었거나, 다른 문제가 있어서가 아닙니다. 대부분의 유방암수술은 감시림프절 생검술을 진행하게 되는데, 그 과정에서 겨드랑이에 분포하고 있는 옆구리나 팔, 등쪽에 감각을 지배하는 감각신경의 잔가지들을 제거하게 됩니다. 따라서 이런 증상들은 특별한 문제가 있어서라기보다는 자연스런 현상으로 크게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.


만약 이런 증상으로 인해, 팔 운동의 제한이 왔다면 목, 어깨, 가슴 등의 운동을 실시하여 팔 주위의 근육을 먼저 이완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. 또한 가벼운 맛사지나 따뜻한 물로 샤워 혹은 통목욕을 하면 팔의 근육이 이완이 되기 때문에 좀더 편안하게 운동을 하실 수 있습니다.

[서울대학교암병원 김지선 교수]

인쇄하기
  • 진료안내 국번없이 1588-5700 건강검진 2072-3333 강남검진센터 02-2112-5500 copyrigh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ll rights reserved. 라이센스현황 블로그 운영원칙